- 국내 연구기관 주관 통신탑재체, 단말국, 위성체 개발 진행

[세계뉴스 = 정서영 기자] 정부가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은 '6G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시스템 개발' 사업의 주관 연구개발기관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저궤도 통신위성 2기와 지상국, 단말국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30년까지 총 32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지난해부터 제도적 준비를 해온 과기정통부는 이를 통해 한국판 스타링크를 구현하겠다는 계획이다.
주요 세부 과제 중 통신탑재체와 지상국 개발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총괄하며, 단말국 개발은 쏠리드가 주관하여 표준기반 셋톱박스형 단말국을 제작한다. 본체와 체계종합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담당하여 위성체 개발과 조립, 발사 등을 수행한다.
정부는 사업운영위원회를 구성해 과제 책임자 및 관련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가 도입되면, 인터넷 취약지역의 통신 환경이 개선되고, 선박 및 항공기에서 고속 위성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집중적인 R&D 투자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핵심 기술과 노하우를 민간에 이전하여 우주검증 이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서비스에 대한 행정 절차를 올해 안으로 마무리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