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과 무역 갈등 지속, 한국 경제 영향 대비 필요

[세계뉴스 = 탁병훈 기자] 미국 정부가 주요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 동안 유예하면서 한국 상품에 적용되던 관세율이 10%로 낮아졌다. 이 같은 결정은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의 반등을 이끌며 주목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을 통해 "90일간의 유예 기간 동안 상호관세를 10%로 대폭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에 대해서는 "세계 시장에 대한 존경심 부족"을 이유로 즉시 관세를 125%로 인상한다고 선언했다.
이번 조치로 한국 상품의 관세율이 10%로 낮아졌지만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25% 관세가 부과되던 품목은 유예 대상에서 제외돼 기존 관세가 유지된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특파원 간담회에서 "대미수출 여건이 악화될 우려가 있었으나, 관세 협상을 통해 우리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여지를 확보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협상 타결까지 지난한 과정이 필요하며, 미중 관세 갈등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미국의 대중국 125% 관세가 우리 기업의 대중 수출과 제3국 수출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등을 고려할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신속한 대미 협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는 미국 증시와 가상자산 가격의 전반적인 상승세로 이어졌다. 이날 비트코인은 24시간 대비 8.6% 급등하며 8만3천 달러를 돌파, 강한 매수세를 보였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