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정책 시민 참여 통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방안 모색
 
[세계뉴스 = 차성민 기자] 사교육 경감을 목표로 한 서울시교육청의 '시민이 제안하는 사교육 경감 방안' 토론회가 23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개최된다. 이번 토론회는 사교육비가 매년 증가하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부모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실효성 있는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정책 수립 과정에 시민을 직접 참여시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인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토론회에는 서울교육 시민참여단 130여 명과 학부모 퍼실리테이터 20여 명 등 총 150여 명이 참여하며, 지난 9월 온라인 정책제안DAY에서 수렴한 시민 의견을 바탕으로 4개 핵심 의제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는 '공교육 내실화와 맞춤형 학습지원 방안'으로, 학교 교육의 다양화와 전문화를 통해 사교육 수요를 줄이는 방안이 논의된다. 두 번째 주제는 '돌봄·방과후 혁신과 지역사회 연계 확대 방안'으로,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지자체와의 협력 모델 구축이 포함된다. 세 번째 주제는 '공정한 입시제도 개선과 교육격차 완화 방안'으로, 미래형 대입제도 개선 방안 마련이 중점적으로 다뤄진다. 네 번째 주제는 '학부모 인식 전환과 행복 중심 교육문화 조성 방안'으로, 공교육 신뢰 강화를 위한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 확대가 논의된다.
서울교육 시민참여단은 2025년부터 2년간 활동하며, 시민의 시선에서 서울교육의 주요 정책을 논의하고 제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시민의 참여가 정책 형성과정 전반에 스며들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 '서울교육 소통광장'을 통해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정근식 교육감은 "사교육 문제의 복합성과 구조적 과제를 강조"하며, "시민의 경험과 통찰이 더해질 때 새로운 해법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제안이 즉시 정책으로 반영되지는 않더라도,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정책과 현장의 목소리가 살아 있는 교육행정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