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이돔 FSS 설계 소프트웨어와 전자파 평가 장비 자체 개발
[세계뉴스 = 탁병훈 기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레이더 스텔스'의 핵심 기술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최근 군사적 긴장과 첨단 무기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스텔스 무기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외산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 국내 기술로 전주기를 구현한 첫 사례다.

레이더 스텔스 기술은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분산시켜 적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로, 무기체계의 자주성과 은닉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번에 표준연이 자체 개발한 기술은 레이돔의 '주파수 선택 표면(FSS) 설계 소프트웨어'와 '전자파 평가 검증 장비'다.
레이돔은 항공기나 미사일의 레이더 및 통신 안테나를 감싸는 반구형 구조체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테나를 보호하면서도 전자파 신호가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정밀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국방용 레이돔은 초고속 비행 중 강한 열과 충격을 견디면서도 여러 성능 요건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표준연은 인공지능(AI) 기술과 병렬계산 방식을 도입한 FSS 설계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다층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레이돔 구조 해석에 최적화된 도구로, 기존 상용 소프트웨어 대비 FSS 설계 속도가 50배 이상 빠르다.
또한 레이돔의 성능을 자체 점검 및 개선할 수 있는 전자파 레이돔 평가 장비도 함께 개발했다. 이는 국내 방위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