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훈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 경호처 사조직화 비판받아

[세계뉴스 = 차성민 기자] 경호처 내부에서 김성훈 경호차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최근 김 차장이 내부 회의에서 "사퇴할 생각이 없다"고 발언하자, 경호처 직원들은 '경호차장 등의 권한 행사 중지 청원의 건'이라는 연판장을 돌리며 그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차장은 윤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에도 자신의 거취를 정리할 계획이 없으며, 안정적인 전직 대통령 경호부 편성 및 차기 대통령 경호팀 편성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은 경호처 직원들의 반발을 촉발한 것으로 보인다.
경호처 내부에서는 김 차장이 계속해서 처장 직무대행직을 수행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경호처는 관례적으로 수사기관의 수사 개시 통보가 이뤄지면 직위 해제를 해왔으나, 김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은 1월 초 기관 통보를 받은 이후에도 3개월 넘게 직위를 유지하고 있다.
연판장에는 "현재 경호처는 사병 집단이라는 조롱 섞인 오명과 함께 조직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김성훈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은 대통령의 신임을 등에 업고 경호처를 사조직화했으며, 직권 남용 등 불법 행위를 자행해 조직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는 비판이 담겼다. 700여 명의 경호처 직원 중 다수가 연판장에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1963년 경호처 창설 이후 최초의 사태다.
이런 가운데 경호처는 전날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경찰 국가수사본부에 내부 기밀을 유출했다는 혐의로 지난 1월 대기발령한 간부의 해임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제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기발령 당시 경호처는 "대상자는 1월 모일 모 호텔에서 국수본 관계자 2명을 만나 군사 주요 시설물 위치 등 내부 정보를 전달한 사실이 확인됐으며, 그 외 여러 외부 경로를 통해 기밀 사항을 유출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간부는 윤 전 대통령의 2차 체포영장 집행 전 열린 간부회의에서 김 차장의 중화기 무장 지시에 반대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태는 경호처의 내부 갈등이 표면화된 사례로, 향후 경호처의 조직 운영 및 인사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