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산 자동차, 트럭, 농산물 수용 및 무역 개방 약속

[세계뉴스 = 전승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과의 무역 협상 결과로 상호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 협상 대표단과의 회담 후 이같이 발표하며,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이 한국과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는 것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한국이 1000억 달러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나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합의 내용은 향후 이재명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할 때 공식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에 완전히 개방적일 것"이라며, 미국산 자동차, 트럭, 농산물 등의 수용에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이번 합의로 관세를 부과받지 않을 것이라고도 밝혔다.
한국 대표단은 대미 관세 협상의 마감 시한인 8월 1일 전에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미국 측과 협상해 왔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이번 합의로 상호 관세율은 기존 25%에서 15%로 낮아졌다"며,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농산물 시장 개방에 대해서는 "미국과 협의 과정에서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었지만,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김 정책실장은 3500억 달러 규모 펀드에 대해 "한미 조선협력 펀드 1500억 달러는 선박 건조, 유지·보수·정비 등을 포괄한다"며, "조선 분야 외에도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우리 기업이 경쟁력 있는 분야의 대미 투자 펀드 2000억 달러를 조성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과 무역 구조가 유사한 일본은 앞서 5500억 달러 대미 투자에 합의하고 상호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췄다.
김 실장은 "미국 상호 관세 조치가 미국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시작된 점을 고려하면 일본과 우리의 펀드 규모를 경제 규모로 단순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리 기업이 주도하는 조선펀드 1500억 달러를 제외하면 우리 펀드 규모는 2000억 달러로 일본의 36%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