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일자리 정책, 청년층 고용 개선 효과 미흡

[세계뉴스 = 박근종 칼럼니스트] 청년층 고용시장이 극심한 내수 부진과 경기 한파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올해 3월 청년층 취업자 수는 356만 9,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0만 6,000명 감소했다. 이는 청년층 실업률을 7.5%로 끌어올리며, 코로나 위기였던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게 만들었다.
청년 고용 악화의 주된 원인은 질 좋은 일자리의 부족이다. 제조업과 건설업의 취업자 수가 각각 11만 2,000명과 18만 5,000명 감소하면서 청년층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 특히 제조업은 9개월 연속 취업자가 감소하며 고용시장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의 직접 일자리 사업이 일부 고령층 취업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나, 청년층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사회 이동성 개선방안 정책'과 '맞춤형 취업지원 정책'을 내놓았지만,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전문가들은 정책 홍보와 접근성 부족을 주요 문제로 꼽고 있다.
청년 고용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기업의 활력을 높여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규제 혁파와 노동 개혁을 서둘러야 하며, 기업이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또한 AI, 로봇, 기후기술 등 신산업 분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 체계를 재설계하고 청년 창업 생태계를 강화해야 한다.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며, 산업 변화에 맞는 기술 기반 일자리를 서둘러 만들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