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권한 확보 목표, 원전 가동 효율성 증대

[세계뉴스 = 탁병훈 기자] 한국 정부가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위한 협상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한국은 우라늄을 농축할 때 미국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 과정이 원전 연료나 연구용으로 적시 활용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점에서 이를 개선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우라늄 농축 비율을 20%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은 검토되지 않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우라늄을 20% 미만으로 저농축해 연료로 사용해야 하지만, 현재는 미국의 승인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며 "미국의 사전 승인을 없애는 것이 협상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자연 상태의 우라늄은 대다수가 U-238로 구성돼 있으며, 핵분열이 가능한 U-235의 비율은 약 0.7%에 불과하다. 원자로에서 안정적인 핵반응을 위해서는 U-235 비율을 높이는 농축이 필수적이다.
특히 원전 연료로 사용하려면 U-235 함량을 3.0~5.0%까지 높여야 한다. 일본은 1988년 미·일 원자력협정 체결을 통해 미국 승인 없이 우라늄을 농축하고 있다.
미국과의 협상이 성공하면 한국은 원전 연료를 적시에 확보할 수 있어 원전 가동의 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HANARO)의 활용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연구용 원자로는 발전용보다 높은 5~20%의 U-235 농축이 필요하다.
정부는 사용후핵연료의 재처리 권한을 확보하기 위한 협상도 진행 중이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별도 승인 없이 사용후핵연료를 재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사용후핵연료 저장 공간이 포화 상태이며, 재처리를 통해 연료를 재활용하지 못해 원전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은 이미 44t 이상의 플루토늄을 보유하고 이를 발전용 연료로 활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