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산업 타격 우려
![]() |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
[세계뉴스 박근종 에디터]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한국 경제의 주력 수출 산업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자동차와 반도체까지 관세 대상에 포함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러한 관세 부과는 한국 경제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한국 경제에 '관세 충격'을 현실화시키는 신호탄이 됐다.
한국의 지난해 대미 수출에서 철강, 자동차, 반도체, 알루미늄, 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40.9%에 달했다.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는 각각 347억 달러와 107억 달러로 전체 대미 수출의 35.6%를 차지하며 한국 경제의 '캐시카우'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비상 수출 지원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무역금융 지원 확대와 수출국 다변화를 통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차는 미국 현지 공장의 생산 물량을 늘리고, 반도체 분야에서는 미국의 빅테크와 협력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S&P는 "20% 관세가 부과될 경우, 현대차와 기아의 영업이익이 최대 19% 감소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예외를 인정받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통상 협상에서 실용 외교를 펼쳐야 한다. 미국산 에너지와 농산물 수입을 늘리고, 조선, 방산, 원전,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이 미국 내에서 83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고용 창출에 기여한 사실을 강조해, 한국이 미국 제조업 부활의 파트너임을 설득해야 한다.
이와 함께, 대체 수출 시장을 확대하고, 사업하기 좋은 경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규제 혁파와 노사 상생 방안도 적극 모색해야 한다. 한국 경제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풍 속에서도 꿋꿋이 버텨야만 한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