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뉴스 = 탁병훈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정부 부처와 협력하여 공공 분야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하는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의 신규 과제 착수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사업은 국가 AI 대전환(AX)의 일환으로, 2022년부터 다양한 공공 분야에 AI 서비스를 개발·실증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의 목표는 민간과 부처가 협력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고, 공공 업무를 효율화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개발·실증하는 것이다. 부처는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와 실증 환경을 제공하고, 기업은 AI 서비스를 개발하여 현장 실증을 통해 공공 분야에 도입을 추진한다.
올해는 기존 과제와 함께 수입물품 안정성 판단, 112 신고 접수 및 출동 지원 등 공공업무 혁신을 위한 10개의 신규 과제가 선정됐다.
또한, 맞춤형 아이돌봄, 공정 하도급계약서 작성 지원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도 포함되어 있다. 각 과제는 연간 9억 원 규모로 2년간 지원되며, 부처 데이터를 학습하여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후 부처 테스트베드에서 실증을 거쳐 실제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대한민국은 AI 전환 속도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기에 놓여 있다"며, "국가 AX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AI 활용이 필수적이며, 과기정통부는 AI 주무부처로서 부처와 민간의 역량을 모아 공공부문의 AI 도입·확산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