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시간 변경으로 노사 합의 필요, 정책 강행에 의구심
- 서울시, 노조와 추가 협의로 합리성과 필요성 설명할 것

[세계뉴스 = 전승원 기자] 서울시가 오는 8월부터 지하철 1~8호선의 첫차 시간을 30분 앞당겨 운행하려다가 서울교통공사 노동자들이 강력히 반발하면서 정책 시행이 불투명해졌다.
21일 서울시의 발표 이후, 공사 직원의 80%에 해당하는 1만 3500명이 소속된 3개 노조가 일제히 반대 성명을 냈다.
가장 큰 노동조합인 1노조는 "노사 합의를 배제한 운행 시간 조정 강행을 중단하라"며, "이러한 조정은 노사 협의가 필요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협의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업무 전반에 적지 않은 변화가 뒤따르는 문제이기에 다방면으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통합노동조합(2노조)과 올바른노동조합(3노조) 역시 노동조건 변경에 대한 논의가 없었다며, 조기 운행 자체의 재검토 및 폐지를 요구했다. 특히 3노조는 "수요 분석이 전무한 상황에서의 운행 시간 앞당김은 불필요한 인력과 에너지 낭비일 뿐"이라며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서울시는 첫차 시간을 앞당겼을 때 예상 탑승 수요가 현재보다 3배 이상 많아질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 같은 변화를 통해 지하철 서비스가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근로시간 변경에 해당하는 이번 조치는 노사 합의가 필요해, 노조의 동의 없이는 시행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공사로부터 지하철 조기 운행 요청이 있었고, 공사 직원들의 일부 찬성 의견도 확인했다"고 해명하며, "노조와의 추가 협의를 통해 합리성과 필요성을 설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발표와 노조의 반발로 인해, 서울시의 정책 추진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