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반침하 관측망 운영과 스마트 계측 신기술 도입 실시간 지반 침하 감지

[세계뉴스 = 조홍식 기자] 서울시가 대형 싱크홀 예방을 위해 지하 20m까지 점검 가능한 신기술을 도입한다. 이에 따라 하수관로 보수 예산을 두 배로 확대하며, 시민 불안 해소에 나선다. 23일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을 발표했다.
이번 혁신안에는 지하공간 안전관리 투자 확대,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확대, 정보 공개, 노후 하수관로 보수 예산 두 배 증액, 전담 조직 등이 포함됐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건설 공사장을 방문해 "대형 굴착공사장 위주로 GPR 탐사를 강화하고 노후 하수관로 개량 예산을 획기적으로 늘려 땅꺼짐 사고를 예방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탐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지반침하 관측망'을 새로 운영할 계획이다. 기존 GPR 장비는 탐지 가능한 깊이가 지표면으로부터 2m에 불과했으나, 새롭게 도입하는 지반침하 관측망은 지하 20m까지 지층 변동을 살필 수 있다. 강동구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 현장과 가까운 지하철 9호선 4단계 1공구 현장에 우선 설치될 예정이다.
실시간 계측을 통해 지반 침하를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계측 신기술'도 도입된다. 15억 원을 투입해 현재 4대인 차량형 GPR 장비를 7대로 늘리고, 서울시가 관리하는 도로 조사범위를 현재 30%에서 60%로 확대한다.
시민 불안 해소를 위해 탐사 결과도 공개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철도공사장 5곳과 자치구에서 선정한 우선 점검 대상 50곳 등에 대한 GPR 탐사를 실시하고,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에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또한, 3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 교체 사업도 가속화한다. 연평균 2000억 원을 투입해 100km를 정비했으나, 앞으로는 4000억 원을 투입해 연간 200km를 정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국비 지원 확대를 정부에 요청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싱크홀 사고 대비를 위한 안전지도를 공개하지 않는 것에 대해 적극 반박했다. 오 시장은 "부동산 가격을 의식해 정확한 지도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오해가 있다"며 "국토교통부와 협조해 지반 침하에 대비한 완벽한 지하 지도를 완성하기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기존 안전 지도는 토지, 지하수 흐름 등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 서울시의 설명이다. 오 시장은 "향후 제작할 지도는 사회적 공감대를 전제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