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종범(57·구속)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 © 세계뉴스 |
[세계뉴스] 한지민 기자 = 현 정부 '비선실세'로 지목된 최순실(60·구속)씨 비리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7일 안종범(57·구속)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이 사용하던 다이어리를 확보했다.
검찰에 따르면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이날 오후 안 전 수석 측으로부터 해당 다이어리를 임의 제출받기로 했다.
안 전 수석의 다이어리가 세간의 관심을 끄는 것은 작년 7월 박 대통령과 재벌 총수 간 독대 경위와 내용이 소상히 담겨있을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박 대통령은 작년 7월 대기업 총수 17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한류 확산을 위해 기업들이 도와야 한다. 기업들이 재단을 만들어 지원하면 좋겠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르재단이 설립되기 바로 3개월 전이다.
박 대통령은 당일 오후와 25일 이틀에 걸쳐 삼성, 현대·기아차, LG, 롯데 등을 비롯해 7명의 대기업 총수를 개별 독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이 대기업 총수에게 어떤 얘기를 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을 위한 구체적인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겠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안 전 수석의 다이어리는 이러한 관측을 뒷받침할 유력한 물증이 될 수 있다. 독대 시간과 참석자, 발언 내용 등이 특정될 가능성도 있다.
검찰은 이를 토대로 박 대통령이 재단 설립과 출연금 모금에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본격적으로 수사할 방침이다.
다이어리 내용에 따라서 최씨와 재단 설립을 사전에 협의했는지, 구체적인 모금 방식을 보고받고 지시했는지 등 수사 향방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만약 박 대통령이 최씨와 안 전 수석이 반강제적으로 대기업으로부터 출연금을 모으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서도 묵인했다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재단이 박 대통령 퇴임 이후를 대비한 것이라는 물증이나 진술이 나오면 뇌물죄가 적용될 가능성도 있다는 게 법조계 시각이다.
검찰은 또 지난달 29일 안 전 수석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2016년도 다이어리와 안 전 수석이 사용한 휴대전화 5∼6대도 압수해 사건 관련성을 분석하고 있다.
검찰은 또 '청와대 문고리 3인방' 가운데 하나인 정호성(47) 전 부속비서관의 휴대전화를 압수해 최씨와의 통화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해당 기기는 정 전 비서관이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지난달 29일 정 전 비서관 자택을 압수수색할 때 확보된 것이다.
이 휴대전화에는 최씨와 정 전 비서관 간 대화 내용이 고스란히 담긴 통화녹음 파일이 저장돼 있었다.
검찰은 정 전 비서관이 통화에서 최씨와 국정 관련 내용을 상의하거나 '지시'를 받았을 가능성을 의심하며 녹음 파일 내용을 확인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압수된 휴대전화엔 아울러 박 대통령의 업무 지시 내용이 구체적인 담긴 통화녹음 파일도 있다”고 밝혔다. 정 전 비서관은 검찰에서 “업무 지시를 놓치는 것 없이 정확히 이행하기 위해 녹음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이 국회의원이던 시절부터 지근거리에서 보좌해 온 정 전 비서관은 최씨에게 박 대통령의 연설문을 비롯해 다수의 대외비 문서를 건넨 혐의(공무상 비밀누설)로 5일 밤 구속돼 조사를 받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