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뉴스 조상호 기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정부가 아시아의 번영과 발전은 일본의 원조로 창출됐다고 주장해 국제적인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아베 정부는 '한강의 기적'을 일군 한국에 대해서 포스코(포항제철) 창립과 지하철 1호선 건설 등을 내세우면서 일본의 전적인 지원으로 경제 성공을 이룩한 것처럼 오도될 가능성이 있도록 언급해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23일 주미일본대사관은 홈페이지에 '전후시대의 국가건설 : 책임있는 파트너로서의 일본(Nation Building in the Post War Era : Japan as a Reliable Partner)'이라는 제목의 홍보 동영상을 올렸다. 동영상에서 일본은 "전쟁(2차세계대전)의 끝에서 일본은 경제를 재건했고, 아시아에서 평화와 번영의 창출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동영상은 전체 2분 분량으로 일본 외무성이 지난 2월 5일자로 제작했다. 일본의 아시아 각국에 대한 원조사업을 자화자찬하는 내용 일색인 동영상은 유튜브로 연결돼 인터넷에서 전 세계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했다.
일본 외무성은 동영상에서 "일본은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체결로 국제사회로 되돌아왔다"며 "1954년부터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경제지원 제공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동영상에는 한국의 지하철 1호선 개통 사진과 소양강댐 건설공사 현장사진, 포스코 제철소 전면사진이 차례로 올라온 뒤 "일본의 공적개발원조(ODA)는 아시아 경제성장의 토대를 놓았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하지만 일본은 제2차세계대전 범죄에 대한 반성과 참회는 한 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동영상 후반부 1분 분량은 일본의 평화유지활동(PKO)과 아프가니스탄 재건 노력 등을 소개하는 장면으로 구성됐다. 오는 4월 29일 사상 최초로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에 나서는 아베 총리의 연설도 과거사에 대한 진심어린 사죄보다는 아시아에서 일본의 역할을 강조하는 내용이 집중적으로 담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