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분 발언을 하고 있는 우미경 서울시의원. © 세계뉴스 |
[세계뉴스] 전승원 기자 = 서울시의회 우미경 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은 21일 제278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용산정비창 부지에 대한 활용계획을 토대로 서울시 도시계획의 비일관성을 질타했다.
우 의원은 이날 용산정비창 부지가 서울시에서 3월에 발표예정인 ‘서울특별시 생활권계획’과 ‘2030 서울플랜’에서는 3도심에 이은 광역중심으로 고차업무거점으로 개발하여 국제적 비즈니스의 중심지로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한 언론매체는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용산정비창 부지가 서울 신규택지지구 지정에도 유력한 대안’ ‘~~로또청약 계속된다’ 라는 기사를 내보내는 등 서울시가 실상은 택지개발로 선회하여, 마곡이후 마지막 남은 미개발이자 미래서울의 성장동력을 계획하였던 용산정비창 부지에 서울시 도시공간구조를 무시한 일관성 없는 정책을 펼치려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강한 의구심을 표출했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서울시 주무부서에 사실 확인을 요청했더니 ”보고할 수 없다. 다만 소송 건은 마무리 중이다“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했다. “소관 위원회인 도시계획관리위원회의 위원에게 조차 보고할 수 없는 이야기가 언론을 통해 기사화 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면서 이의를 제기했다.
우 의원은 “서울시의 정책변화로 용산정비창 부지는 지난 수년간 지역갈등의 아픔에서 아직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곳이다”며 “지금 이것이 서울시가 서울시민과 소통하는 방식이 아닌가? 의구심을 버릴 수 없다”고 강력하게 질타했다.
또한 “서울시민의 심각한 주거문제와 그 어려움을 생각한다면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급계획의 수립과 도시재생정책 안에서 뉴타운지구 등의 해제로 인해 중단된 질적·양적 주거공급 물량을 어떻게 보완·대체·공급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박원순 시장에게 대안을 요구했다.
우 의원은 “천만시민의 서울, 천년 아니 그 이상 영원하여야 할 우리 서울의 미래도시공간구조를 무시한 일관성 없고 무분별한 도시계획의 피해는 결국 우리시민에게 되돌아 올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