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을 설득해라? 신뢰를 확보해라? 이게 사업비지급 규정이냐" 분통 터트려
![]() |
▲ 1일 군산시청 시의회 정문에서 김광중 협동조합 이사장이 “국가예산 집행 중단 업종전환 사업 진실을 밝히라! 군산조선소 피해기업에 협동조합 우선발주 배정하라”며 강임준 군산시장에게 상생정책을 촉구했다. (사진=윤준필 기자) |
[세계뉴스 전승원 기자] 군산조선소기업 업종전환 사업이 좌초위기에 몰린 가운데 사업 수행자인 군산조선해양기술사업협동조합이 피켓시위를 이어가면서 군산시와 협동조합 간에 긴장감이 팽팽해지고 있다.
지난 1일 군산조선해양기술사업협동조합 임직원들이 6천여 명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릴레이 시위를 펼치고 있다.
이날 오전 시위현장은 군산시청 정문에서는 김광중 이사장이 후문에서는 오기용 사무국장이 피켓시위를 펼쳤다. 또 신시도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 33센터 사거리에도 현수막을 붙이고 시위를 이어갔다. 오후에는 김부겸 국무총리가 방문하는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 GSCO(지스코)에서 피켓을 들고 “풍력사업의 사업비를 조속히 지급하라”고 촉구했다.
피켓에는 “군산조선소 도크폐쇄로 대량실업 실직자 6,000여명”의 “생존권이 걸린 전북지역에 풍력 발주물량 군산조선소 피해기업 협동조합 우선발주 배정하라!”, “피 토하는 심정으로 군산시 시장께 상생정책을 촉구한다!”라고 쓰여 있다.
협동조합 김광중 이사장은 릴레이 1인 시위에 나서면서 “군산시가 시장을 설득해라? 신뢰를 확보해라? 이게 사업비지급 규정이냐”라며 분통을 터트렸다.
김 이사장은 “국가예산 집행 중단 업종전환 지원 사업 진실을 밝히라”며 “국가와 협약 후 사업비가 군산시에 내려와 있다. 신속히 지급해줄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
▲ 1일 신시도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 33센터 사거리에서 김광중 협동조합 이사장이 “군산조선소 도크폐쇄로 대량실업 실직자 6,000여명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사업비를 지급하라”고 촉구 하고 있다. (사진=윤준필 기자) |
군산시는 앞서 보조금 집행 기준으로 “시장을 설득하고, 신뢰를 쌓고, 시의회를 이해시키고, 내부 잡음을 해소해야한다”는 등 이상한 요건들을 나열하면서 사업에 제동을 걸었다.
그러니까 당초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관련 기업이 80여개 협력업체에서 20여개 업체가 남아 협동조합을 결성하고 지역경제 재건에 안간힘을 쏟고 있는 이 때 바로 군산시라는 암초에 부딪친 것이다.
군산시는 공장 부지와 생산 설비 구입비 등으로 143억이 배정된 예산에서 공장부지 구입비용으로 60억 원만 지원하고 나머지 지원금은 홀딩 해 버렸다.
이에 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양, 하루아침에 풍력사업은 올 스톱 돼, 사업 시작 1년 반 동안 허송세월로 인해 협력업체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2017년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으면서 지역경제 위기를 맞은 군산지역 조선업체들의 사업다각화로 대기업 의존도 탈피와 자생력 강화에 기여하고 이들 업체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나선 것인데, 자치단체가 이를 가로막고 있는 형국이 된 셈이다.
군산시는 사업 제동에 조합 내부의 잡음해소를 주문하지만, 지난 5월 간담회에서 이사장 사퇴종용이 기정사실로 밝혀지면서 합법적으로 선출되어 임기가 보장된 이사장직을 끌어내리려 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 |
▲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 GSCO(지스코)에 “군산시는 업자들과 이해관계 척결하고 적극행정으로 자립경제 앞장서라”는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사진=윤준필 기자) |
김광중 이사장은 이와 관련, “군산시는 업자들과 이해관계를 척결하고, 적극행정으로 자립경제 앞장서라”고 촉구 했다.
한편 신재생에너지사업은 국비 174.9억, 도비 30억, 시비 70억, 협동조합 22.1억으로 총 297억이 소요되는 사업으로, 사업기간은 2020~2022년(3년)이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