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제보조작으로 윗선 소환 임박설
바른정당, 황영철 檢결과에 교섭단체 위기
[세계뉴스] 최인배 기자 =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 야3당 모두 한꺼번에 검찰 수사와 재판 결과에 따라 당의 운명이 좌우될 위기에 처했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에 대한 견제와 감시에서 협치로 되돌아설지가 주목된다. 그동안 한국당 홍 대표는 7.3전당대회에서 강경모드를 예고했었다. 국민의당도 추미애 대표의 '머리자르기' 발언과 관련 강경으로 돌아선바 있다.
17일 검찰에 따르면 황영철 바른정당 의원은 지난 5년간 보좌관 월급 2억 원가량을 유용한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를 받고 있다. 지난 12일 검찰에 출두해 15시간에 걸쳐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다. 황 의원은 전날(16일) 기자회견을 열고 “보좌관과 지역사무소 책임자들의 급여를 어떠한 사적인 용도로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해명한바 있다.
그러나 검찰은 이미 황 의원 지역구 후원회 사무소 간부 김모씨를 기소한 상태여서 바른정당은 비상이 걸렸다. 국회의석 20석으로 원내교섭단체 유지에 턱걸이하는 상황이 됐다. 만약, 황 의원이 징역형 또는 100만 원 이상의 벌금형이 확정되면 교섭단체 지위가 무너질 수 있다.
한국당과 국민의당은 사정이 더 나쁘다.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이 포진한 한국당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수사 및 재판과 무관치 않은 데다 홍준표 대표마저 이른바 ‘성완종(전 경남기업 회장) 리스트’ 사건에 연루돼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청와대가 최근 ‘삼성 경영권 승계 지원 의심 메모’ 등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실을 뒷받침하는 민정수석실 문건을 공개하자 더불어민주당은 우병우 전 민정수석에 대한 재수사를 촉구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농단 사건의 전모 파악과 함께 적폐 5범 중 한 명인 우 전 수석에 대한 철저하고 전면적인 재수사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한 국정농단에 대한 정치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한국당은 더 복잡하다. 청와대의 추가 문건 공개 여부에 따라 불똥이 어디로 튈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민의당도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 씨 취업특혜 의혹 제보 조작 파문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준서 전 최고위원과 이유미 당원이 구속된 데 이어 이용주 의원과 박지원 전 대표까지 검찰에 소환될 것이라는 얘기가 검찰과 정치권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한편 야3당인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은 각 각의 사건에 연루되어 있는 만큼 당의 실익을 저울질 하며 대여 투쟁수위가 대폭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