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 박근혜 대통령이 춘추관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 세계뉴스 |
[서울=세계뉴스] 전승원 기자 = 3년 반만에 만난 한중일 3국 정상들은 틀어진 3국관계의 정상화와 협력체계 복원에 한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안보와 역사 문제에서는 여전한 입장차를 보였다. 정상간의 온도차는 별도로 열린 양자회담에서 뚜렷이 확인됐다.
박근혜 대통령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일 청와대에서 열린 한일중 3국 정상회의에서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한 공동선언'을 채택하고 북핵 문제에 대한 공조와 함께 정상회의 정례화에 합의했다.
일중 정상회담에서 리 총리와 아베 총리는 양국 현안에 대해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에 공감을 표하면서도 민감한 이슈에 대해서는 시각차를 보였다. 리 총리는 "양국 총리는 오늘 겨우 첫 정식 회담을 실현할 수 있었다. (3년반 동안 회담을 열지 못한) 원인은 일본 측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리 총리는 "역사문제는 13억 중국 인민의 감정이 걸린 문제"라고 쐐기를 박았다. 또한 "중일 관계는 우회하다 곤란에 부딪쳤다. 역사를 직시하고 거울로 삼는다는 정신에 입각해 정치적 민감한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전후 일본이 평화 국가로서의 행보를 보였음을 설명하고 이해를 호소하면서도 영토분쟁 지역인 일본명 센카쿠 열도(尖閣諸島) 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문제와 함께 남중국해 문제를 꺼내며 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총리는 그 외에 난징(南京) 대학살 자료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중국 정부의 일본 민간인 스파이 혐의 구속 등 민감한 이슈에 대해서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총리는 특히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에 대해 거론하면서 '항행의 자유'와 '법의 질서'라는 관점에서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문제가 일중간 민감한 현안인 만큼 양국은 공식적으로 외부에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예정된 시간보다 30분을 더 진행한 회담 이후 일본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현안들에 대해서는 내용을 서로 공표하지 않기로 합의해 회의를 끝낼 수 있었다"며 "구체적인 설명은 피하고 싶다"고 말했다. 역사와 영토 문제에 대해 의견차가 컸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2일 한일 정상회담도 평행선을 예고하고 있다. 1일 정상회담 의제 최종 조율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간의 외교장관회담에서도 위안부 문제는 별다른 진전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30일 박 대통령이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위안부 문제가 연내 타결돼 피해자 분들의 상처가 치유되길 바란다"고 밝힌바 있어 아베총리는 이 숙제를 풀지 않고선 양국의 발전에 한걸음도 다가설 수 없어 어떻게든 짚고 넘어갈 공산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