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호선 교대역에서 실증을 진행 중인 역사 실시간 혼잡관리시스템.
[세계뉴스 = 조홍식 기자] 서울 지하철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사장 백호)는 인공지능 전환(AX, AI Transformation)을 본격화하며, AI를 지하철 운영 전반에 도입하기 위한 혁신 전략을 추진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6월 AI혁신추진단을 출범시켜 AI 기술을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지하철 이용 중 시민들이 겪는 불편과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우선적으로 다루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수도권 시민들의 안전 우려가 제기됐던 역사 혼잡도 완화 시스템이 있다. AI와 고화질 CCTV를 활용한 '역사 혼잡도 관리시스템'은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혼잡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한다.
이 시스템은 현재 2호선 교대역에서 실증을 진행 중이며, 올해 안에 사당역과 신도림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공사는 데이터 기반의 구체적인 역사 혼잡 완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산업용 리튬배터리의 열화·폭발 예방을 위해 AI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서울AI재단과 협력하여 다양한 분야에 AI 기술을 접목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컨설팅을 통해 지하철의 안전과 서비스 인프라 개선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AI 시대에 맞춘 전사적 인식 전환을 위해 'AI시대, 생존을 위한 마인드셋'을 주제로 서브웨이 리더십 포럼을 개최,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시각을 공유했다.
한영희 서울교통공사 기획본부장 겸 AI혁신추진단장은 AI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시민 안전 확보의 핵심 도구라고 강조했다. AI혁신추진단을 중심으로 서울 지하철은 세계 최고의 안전성과 편의를 갖춘 스마트 교통 플랫폼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