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책임 회피와 안전 미비 시민 안전 위협
[세계뉴스 = 윤소라 기자]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박수빈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서울시의 한강버스가 반복되는 사고로 시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면서 "한강버스 운항을 전면 중지하라"고 했다.
지난 15일 잠실선착장 인근에서 잠실행 7항차 102호 선박이 저수심 구간에 걸려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의 원인은 항로 이탈에 따른 저수심 구간의 걸림으로, 간접적 원인은 항로표시등의 밝기 부족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미 경고됐던 위험에 대해 서울시가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강의 얕은 수심 문제는 여러 차례 지적되어 왔다. 국정감사와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선박의 흘수와 강 바닥면 간 안전 여유폭 부족', '토사 퇴적으로 인한 수심 문제' 등이 구체적으로 언급됐으나, 서울시는 저수면 준설과 항로표시등 설치로 충분한 안전을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번 사고로 인해 서울시의 주장이 무색해졌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대응은 간단한 사과문에 그쳤다. 그 안에는 "정쟁으로 삼지 말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어, 정당한 비판에 대한 책임 회피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서울시의 안전관리 체계가 신뢰를 잃게 되면서 중앙정부가 개입하게 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한강버스 사고 관련 안전점검 및 조치 특별지시'를 내리며 문제 해결에 나섰다.
이번 사고는 처음이 아니다. 운전·조작 미숙, 기계 결함, 부표 관리 부실 등으로 인해 이미 17건의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서울시는 운행을 지속해왔고, 사고는 반복되고 있다.
오세훈 시장은 취항식에서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의 지적을 겸허히 듣겠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그 우려를 무시한 채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민주당은 시민의 안전을 묻는 것은 정쟁이 아니라 행정의 기본이며 최소한의 책무다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