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뉴스 = 윤소라 기자]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송재혁 의원(민주당, 노원6)이 서울시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전담기구 설치를 제안했다.
송 의원은 제332회 임시회 본회의 시정질문을 통해, 서울의 평균기온이 1908년 10.4도에서 2024년 14.5도로 상승한 점을 언급하며, 이는 산업화 이후 지구 온도가 1.5도 상승할 경우 자연 재앙이 우려된다는 점에서 심각한 변화라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특히 기후위기가 노인, 저소득층,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더 큰 위험을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기업이 사용하는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RE100과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은 산업과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기후위기 대응은 단순한 환경정책을 넘어 복지정책이자 경제정책으로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 송 의원은, 서울시가 목표 설정과 중장기 계획을 통해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재 서울시의 기후위기 대응 담당 공무원들이 1~2년 단위로 보직을 바꾸는 순환근무를 하고 있어 정책의 안정적 추진이 어렵다고 비판했다.
이에 송재혁 의원은 "기후 위기 대응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안정하게 운영할 수 있는 전담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하며, "서울시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