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와 사진, 증언으로 보는 위안부 이야기' 강연회 개최
정서영 기자
news@segyenews.com | 2017-02-10 12:52:37
Warning: getimagesize(http://www.segyenews.com/home/segyenews/public_html/news/data/20170210/p1065585133014422_141.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egye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bool in /home/segye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segye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bool in /home/segye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segyenews/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 © 세계뉴스 |
[세계뉴스] 정서영 기자 = 1938년 3월 일제의 ‘처녀공출’에 걸려 중국으로 끌려간 박영심은 어떻게 임신한 상태로 전쟁터에서 살아남아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을까? 1941년, 병원에 가면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는 얘기에 속아 언니와 함께 필리핀으로 간 김소란(가명)은 감시와 폭행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아 ‘위안부’ 피해를 증언할 수 있었을까?
서울시는 서울대학교 인권센터와 함께 지난해 12월 31일 발간한 ‘문서와 사진, 증언으로 보는 ‘위안부’ 이야기(이하 ‘위안부’ 이야기‘) ‘사례집과 관련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첫 강연회를 오는 22일 개최한다.
‘위안부’ 이야기는 시가 작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 사업’ 중 하나로 ‘위안부’ 피해자 10인의 생생한 증언은 물론 미국, 태국 현지조사를 통해 새롭게 발굴한 역사적 입증자료까지 망라해 교차분석한 첫 사례집이다.
이번 ‘위안부’ 이야기 강연회는 그동안 대중에게 그저 ‘위안부’ 피해 할머니로만 인식되어 있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제도의 역사와 ‘위안부’ 피해 여성의 생애사를 다룰 예정이다.
미·중 연합군 공문서, 포로심문자료, 스틸사진, 지도 등 역사적 사료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의 진실된 이야기를 소개할 이번 강연은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2월 22일 오후 2시부터 개최된다.
또한 이날 강연회에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작품전시’ 및 ‘할머니들에게 남기는 글’ 등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참가신청은 일반시민 누구나 가능하며,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홈페이지(http://yeyak.seoul.go.kr) 교육 신청을 통해 2월 21일까지 150명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참가 신청한 시민들에게는 교육자료(‘위안부’ 이야기)를 제공한다.
한편 서울시는 ’17년에도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 및 ‘기억의 터(서울 중구 퇴계로26가길 6)’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많은 시민들이 ‘위안부’ 역사를 기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기록의 역사를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엄규숙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그동안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 데 반해 정작 그 역사적 사실에 대해 잘 알지 못했던 것이 현실 이었다”며 “이번 강연회를 통해 많은 분들이 ‘위안부’ 에 대한 올바른 역사를 이해하고, ‘위안부’ 역사를 잊지 않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