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대 중반, 한국산 원자력 추진 잠수함 시대 열린다

정서영 기자

segyenews7@gmail.com | 2025-11-05 14:31:26

- 미국 핵연료 공급 수용으로 원자력 잠수함 건조 가능성 확대
- 원자로와 무장 체계 등 핵심 기술 확보, 안전성 검증 진행 중
- 범정부 차원의 태스크포스 구성으로 체계적 추진 기반 마련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의 한국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 핵연료 공급 요청을 수용하면서, 한국이 2030년대 중·후반에는 자체 기술로 원잠을 건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세계뉴스 = 정서영 기자]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이 한국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 핵연료 공급 요청을 수용하면서, 한국이 2030년대 중·후반에는 자체 기술로 원잠을 건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4일 국방부 원종대 자원관리실장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원종대 실장은 원잠 건조에서 가장 큰 난제였던 연료 확보 문제가 한미 간 협의 진전을 통해 해결됐다고 설명하며, 본격적인 사업 추진 여건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원잠에 탑재될 원자로와 무장 체계 등 핵심 기술을 확보 중이며, 안전성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은 이미 세계적 수준의 재래식 잠수함 설계 및 건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원잠 건조가 가능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미국 측과의 협의를 통해 원잠용 연료를 확보하고 2020년대 후반 건조 단계에 진입할 경우, 2030년대 중·후반에는 선도함 진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해 원자력 추진 잠수함 건조를 위한 범정부 태스크포스(TF) 구성 계획도 보고됐다.

원 실장은 원잠 건조가 외교적 협의와 기술 검증, 산업 기반 마련 등의 다양한 과제가 포함된 대규모 전략무기 사업임을 강조하며, 체계적 추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원잠 연료 공급에 관한 구체적 협의를 추진하는 한미 외교·국방 당국 간 실무협의체 구성을 계획하고, 국가 전략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TF 구성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원자로를 잠수함에 적용하는 최초 사례인 만큼 안전 규제 관련 법령 등의 제도적 기반 구축도 병행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