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지방분권형 개헌 입장문 발표

조홍식 기자

news@segyenews.com | 2018-03-26 17:20:51

지방의회의 자치법률 제정권, 자치 재정권, 자치조직권의 보장 촉구

[세계뉴스] 조홍식 기자 =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회장 양준욱, 서울특별시의회 의장)는 정부 및 국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개헌 논의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각 정당 및 후보자들은 6월 지방선거와 함께 분권형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공약에 제시한 바 있고, 특히 문재인 정부는 연방제에 준하는 수준의 지방분권을 실시할 것임을 천명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의회, 단체장은 물론이고 관련 시민단체 등은 분권형 개헌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국회와 정부에 제시해 왔다.


그러나 국가권력구조에 대한 정당 간 입장차이로 인해 국회에서의 개헌 논의가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동안 분권형 개헌의 취지를 왜곡하는 각종 주장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또 정치권 일각에서도 지방분권형 개헌은 필요 없다는 주장이 나오는 등 지방분권형 개헌을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는 것.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는 지방분권형 개헌이 조속히 실현될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에 다음과 같이 촉구했다.


첫째, 실질적 지방자치 실현을 위해 지방의회의 자치법률 제정권을 보장하라.

최근 사회·경제적 구조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되고 있으며, 지역 주민의 요구 역시 복잡·다원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반해 국회와 정부가 배타적으로 행사하고 있는 법령의 제·개정은 매우 느린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고 중앙의 획일적인 입법권 행사는 지역의 특수성과 지역주민의 요구를 담아낼 수 없다. 국가는 외교·국방 등 국가존립에 필요한 사무 및 금융, 국세, 통화 등 전국적 통일성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만 전속적 입법권을 행사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루어지는 주택, 교육, 복지, 환경 등의 사무에 대해서는 자치법률을 제정할 수 있도록 지방의회에 자치법률 제정권을 부여하여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율성을 위해 지방과세권 등 자치재정권을 보장하라.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의 의존에서 벗어나 자율적 주체로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방의 과세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독일이나 스위스 등의 선진국과 같이 현재 국세로 분류되어 있는 소득세나 법인세 등에 대해서도 지방자치단체가 세목을 중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와 같이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정책의 수단으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가 자치단체에 위임하는 사무에 대해서는 그 비용을 전액 국가가 부담하도록 헌법에 담아야 할 것이다.


지역 간 재정격차 해소를 위해 재정이 풍부한 지역의 세금 중에서 일부를 재정이 빈약한 지역에 이전하는 수평적인 재정조정제도를 헌법에 담고, 중앙정부는 이 같은 제도를 통해 지역 간 재정격차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구성의 자율성을 보장하라
지방자치제도의 특징 중의 하나가 바로 다양한 제도의 실험과 공존이다. 이는 각 지방자치단체 기관구성의 자율성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의 면적, 인구, 역사적 그리고 경제적 특수성에 맞추어 기관대립형, 기관통합형, 위임형 등 다양한 형식의 기관구성은 물론이고 인사 등을 포함한 운영의 방식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1991년 지방의회의 재소집과 함께 시작된 한국의 지방자치는 올 해로 시행 27년을 맞이하고 있지만 입법, 재정, 조직 등 지방자치의 핵심을 이루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여전히 중앙의 획일적 통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