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60%는 못 들어가는 지진대피소…대책 전무

조홍식 기자

news@segyenews.com | 2017-11-02 15:10:32

지진 옥외대피소 표지판 '0'

[세계뉴스] 조홍식 기자 =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줬던 9 ·12 경주지진이 발생한 지 꼭 1년이 지났지만, 서울시의 지진대비 시스템은 여전히 취약한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진 발생 직후 지역 주민들이 임시로 대피할 수 있는 ‘옥외대피소’와 주거지가 파손된 이재민들이 거주할 수 있는 ‘실내구호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안전총괄본부가 김춘수 서울시의원에게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 ‘지진대피소 지정 현황’에 따르면 25개의 자치구에 옥외대피소 1,721개, 실내구호소 563개소 등 총 2,284곳의 대피소를 운영하고 있다.


언뜻 보면 많은 숫자처럼 보이지만 수용인원을 살펴보면 사정이 다르다.


1,721개의 지진대피소는 총 3,611,935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실내구호소 563개소는 558,141명만을 수용할 수 있다.


지진 발생 시 시민의 60%는 지진에 무방비로 방치된다는 분석이 된다.


또한 서울 내 지진 옥외대피소 중 표지판이 설치된 곳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지진 실내구호소’에 대한 홍보가 주로 민방위 또는 예비군 훈련에 국한돼 이뤄지면서 구호소로 지정된 상당수 학교 등 시설들조차 지정 사실을 모르고 있는 실정으로 홍보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지진대비 시설은 대부분 실외 공원과 학교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대피시설 확충과 더불어 국민안전디딤돌 앱과 연계해 실내구호소 활용 등 지진에 대비한 안전방침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