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영 의원 "일시적 체험 아닌 생계 보장 장애인 일자리 사업 필요"
- 장애인의 사회 진출을 돕는 중장기적 장애인 일자리 사업 추진
전문 모니터링단 시작으로 중장기 장애일 일자리 사업 방안 모색 - 정서영 기자 segyenews7@gmail.com | 2019-09-24 12:47:13
![]() |
▲ 김경영 서울시의원. |
[세계뉴스 정서영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김경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초2)이 장애인들의 사회진출을 돕는 중장기적 성격의 장애인 일자리 사업의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서울특별시의회 제 289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보여주기식에 급급해 진정한 디딤돌 사업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서울시 장애인 일자리 사업의 전반적인 문제를 비판했다.
김 의원은 “장애인 일자리 사업의 기본 목적은 우리사회의 엄연한 주체인 장애인들의 소득을 보장하고 사회참여를 확대시키는 것”이라며 “하지만 장애인 일자리 모니터링 사업을 포함하여 서울시의 대부분 장애인 일자리 사업은 장애인들에게 짧은 기간 동안 일자리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만 제공하는 시혜적 성격이 더 강했다” 고 밝혔다.
이어 “다행히 지난달 5분 자유발언 이후 관련 부서에서도 중장기적 성격의 장애인 일자리 사업의 필요성에 공감했고 그 결과 장애인 편의시설에 관한 중장기 장애인 전문 모니터링단 채용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어렵게 첫 삽을 뜬 중장기 장애인 전문 모니터링단을 시작으로 장애인들의 경제적 자립 능력을 실질적으로 향상 시켜주는 중장기 장애일 일자리 사업이 꾸준히 개발, 정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경영 의원은 중장기적 장애인 일자리 사업에 관한 창의적 접근과 실질적 해결을 위한 공청회와 토론회를 개최해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함께 동등한 경제 주체로 나아갈 수 있는 일자리정책 도입을 위해 방안을 꾸준히 모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
世界 포토
많이 본 기사
시사
- 생활·경제
- 전국
- 뷰파인더
- 동국제약,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암 치료제 완제품 생산
- 서울시, 미세먼지 집중관리 '금천·영등포·동작' 지정
- 市, 135억 불법 대부영업 28명 형사입건
- 서울 '김장비용' 대형마트보다 전통시장이 '13% 저렴'
- 서울시, 양평1유수지에 '저류조' 설치…상부 체육공원 조성
- 가락시장, 2019년 김장철 성수기 교통소통 대책 추진
- 세계
- 시사
- 휴먼스토리
- 도시안전건설위, '주한미군기지 및 반환공여구역 환경사고 예방 및 관리 조례안' 공동발의
- '서울기술연구원' 개원 1년 성과보고회…'신기술접수소' 등 운영
- 김인제 도계위원장, "마곡지구를 '국제교류 중심지'로 만들겠다" 표명
- 이상훈 의원, "도시재생 자치분권 위한 예산과 권한의 분산 필요성" 강조
- 송명화 의원, '친환경 수도계량기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 홍성룡 의원, "서울시, 버스정류소 안전방해 시설물 조속히 정비하라" 질타